고지서 날아왔다면? 기준부터 납부전 카드혜택까지 꼭 확인하세요!
매년 11월이 되면 많은 고가 부동산 보유자에게 도착하는
📩 바로 이 고지서, **종합부동산세(종부세)**입니다.
하지만 막상 받으면
"왜 나한테 나왔지?",
"카드로 내면 혜택 있나?",
궁금한 게 한두 가지가 아닙니다.
이번 글에서는
✅ 종부세 부과 기준
✅ 계산 방식
✅ 카드 납부 가능 여부와 혜택까지
깔끔하게 정리해드립니다.
✅ 종부세란?
종부세(종합부동산세)는 공시가격 기준으로 고가 부동산 보유자에게 부과되는 국세입니다.
즉, 단순히 집이 여러 채라고 무조건 내는 게 아니라, ‘공시가격 합산’이 일정 기준을 초과하면 부과됩니다.
📌 2025년 종부세 부과 기준
1주택자 (실거주) | 12억 원 초과 | 공제 혜택 있음 |
2주택 이상자 | 9억 원 초과 | 조정대상지역 중복 보유 시 중과 가능 |
법인 | 0원부터 과세 | 공제 없음 |
📌 기준은 ‘공시가격 기준’이며, 실거래가 아님
📌 6월 1일 기준 소유자에게 부과 → 11월 고지, 12월 납부
💰 종부세 계산 방식 요약
과세표준 × 세율 – 공제 및 세액공제 = 납부세액
- 과세표준: 공시가격 – 기본공제 – 공정시장가액비율(60%)
- 세율: 0.5% ~ 6.0% (보유 주택 수 및 금액에 따라 차등 적용)
- 장기보유공제, 고령자공제 등 일부 세액감면 적용 가능
💳 종부세 납부, 카드로 가능할까?
가능합니다.
종부세는 국세청 홈택스 또는 금융기관 납부창구, 카드사 홈페이지/앱 등을 통해
신용카드로 납부할 수 있습니다.
✅ 종부세 납부 가능한 카드사
- 신한카드
- KB국민카드
- 현대카드
- 삼성카드
- 롯데카드
- 하나카드
- NH농협카드 등
📌 납부 수수료는 보통 납부금액의 0.8%~1.0% 내외 발생
📌 무이자 할부 적용 여부는 카드사별 상이
💳 카드 납부 혜택 BEST 팁
- 무이자 할부 혜택
- 대부분 카드사에서 3~6개월 무이자 할부 제공
- 일부 카드사는 12개월 부분 무이자 또는 할부수수료 일부 캐시백 제공
- 포인트 사용 가능
- 카드사 포인트로 일부 종부세 납부 가능
- 국민·삼성·현대 등 주요 카드사 지원
- 납부 실적 인정
- 대부분 연간 사용 실적에 포함됨
- 단, 일부 프리미엄 카드나 제휴카드는 실적 제외 가능 → 약관 확인 필요
- 납부 이벤트 활용
- 연말 카드사 프로모션 기간 활용 시 소정의 캐시백, 경품 혜택 가능
💬 자주 묻는 질문
Q. 종부세를 나눠 낼 수 있나요?
A. 납부세액이 500만 원을 초과할 경우 분납 신청 가능 (최대 6개월까지)
Q. 종부세 카드 납부 수수료는 세액공제 대상인가요?
A. 아닙니다. 수수료는 별도 비용으로, 세액공제 대상이 아닙니다.
Q. 홈택스에서 바로 카드 납부 가능한가요?
A. 가능합니다. ‘국세납부’ 메뉴에서 카드 선택 → 인증 후 즉시 납부 가능
✅ 요약 정리
✔ 종부세는 공시가격 기준 9억~12억 초과 시 부과
✔ 11월 고지, 12월까지 납부 필수
✔ 카드 납부 가능! 무이자, 포인트 활용, 실적 인정 가능
✔ 분납/이의신청/공제 제도도 적극 활용 필요
📌 TIP: 종부세 대상자라면 홈택스 또는 카드사 앱에서
납부 방법, 수수료, 혜택을 꼭 비교해보고 납부하시길 추천드립니다.